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상호관세 부과에 부동산 시장도 흔들…건설비 상승에 집값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 노동자들에게 “해방의 날”이라고 선언하며 발표한 대규모 상호 관세 조치가 건설 비용 증가, 부동산 시장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번 관세 정책은 주택 시장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됐다. 주택 건설에 사용되는 수입 자재가 워낙 많아서 인상된 관세가 부과되면 주택 건설 비용이 대폭 오르고 이에 따라 집값은 물론 주택 보험료 등의 부대 비용도 크게 인상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가주한인건설협회의 크리스 이 회장은 “중국을 포함해 여러 나라에서 건축자재가 수입되고 있다”며 “대중국 관세 폭탄으로 건축 자재 비용이 오르면 결국 건축 비용이 대폭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미주택건설협회(NAHB)에 따르면, 국내 주택 건설에 사용되는 자재의 약 10%가 해외에서 수입되고 있다.     백악관에 따르면 이번 조치로 인해 중국산 제품에 부과되는 총 관세는 54%에 이르게 된다.     현재 캐나다산 목재는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 안보 명목으로 부과한 25% 관세의 면제 대상이지만, 전문가들은 이번에 새로 도입된 10% ‘상호주의 관세’가 추후 적용될지는 불확실한 상태라고 전했다. 관세 적용 시 발생하는 원자재 가격 인상은 신축 주택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자재비 인상분이 그대로 반영될 경우, 신축 주택에 대한 구매 심리 위축은 물론, 전체 주택 시장에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NAHB는 이미 일부 회원사들이 신축 단독주택 한 채당 자재비가 7500달러에서 1만 달러가량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주택 공급 부족을 해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주택을 더 많이 짓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번 관세 조치는 되레 주택 건설 비용을 높여 주택 공급을 방해하게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주택 가격뿐 아니라 모기지 금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기업은 관세로 인한 원가 상승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물가가 전반적으로 오르게 되고, 이는 다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하를 늦추거나 보류하게 만들 수 있다. 금리가 높게 유지될 경우,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모기지 금리 역시 떨어지지 않게 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특히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로 인플레이션이 장기화할 경우, 모기지 금리가 오랜 기간 높은 수준에 머무를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여다.   30년 고정 모기지 평균 금리는 2024년 10월 말 이후 줄곧 6.6%를 웃돌고 있다. 이는 시장의 기대보다 높은 인플레이션 지표가 지속됐기 때문인데, 이번 관세 정책이 그 불씨를 더욱 키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훈식 기자상호관세 부동산 주택 시장 부동산 시장 신축 단독주택

2025-04-03

GTA 주택, 콘도가격 2월 최고치 경신

 광역토론토 주택 가격이 천정부지로 뛰어오르고 있다.   23일(수) 건설업대지개발협회(BILD)는 새로운 시장보고서를 통해 지난 2월 신축 단독주택 가격이 평균 186만달러에 팔렸다고 전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무려 35%나 급등한 가격이며 신축 콘도 가격 또한 크게 올라 전년 동기 대비 13%가 오른 117만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토론토 신규 주택 판매량을 살펴보면 지난 2월 한 달간 거래된 신규 주택은 3,630채로 10년 평균보다 17%나 증가했으며 이 중 콘도가 3,048개 유닛을 차지해 콘도시장으로 구입자 발길이 몰린 것으로 분석했다.   저층 건물과 타운하우스의 판매량도 지난해 2월과 비교해 78%가 늘어나 10년 평균치와 비교했을 떄 67% 증가했다.   이러한 신규 주택 가격 상승에 전문가들은 매물부족 현상이 가격 상승 불렀다고 진단했다.   부동산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관리 회사인 알투스 그룹의 에드워드 컨설팅 매니저는 "GTA의 신규 주택 가격은 단독 주택 및 콘도 부문에서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며 "단독 주택의 경우 시장 매물 부족이 계속되면서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협회는 보고서를 통해 이러한 비정상적인 시장 과열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건설업대지개발협회 월키스 회장은 "계속되는 부동산 문제는 지역 경제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며 "주택시장의 구조를 바꿀 수 있는 혁신적인 조치가 시급하다"라고 전했다.   이어 "올해 온타리오주의 총선이 진행된다"라며 "정치인들이 이와 같은 주택 공급 및 가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온타리오주 정부는 지난달 주택문제 자문위원회로부터 앞으로 10년간 주택 150만채를 공급하는 방안이 포함된 55개 사항의 건의안을 받았으나 이와 관련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한편, 지난 2월 기준 캐나다 평균 주택 가격도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부동산협회(CREA)에 따르면 2월 캐나다의 평균 주택 거래가격은 81만6천720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0%나 뛰어올랐다.   협회는 “토론토와 밴쿠버 주택시장이 집값 상승을 주도했다”며 "이 두 곳을 제외하면 전국 평균가격은 17만8천달러나 낮아진다”고 전했다. 김원홍 기자콘도가격 최고치 광역토론토 주택 지난달 주택문제 신축 단독주택

2022-03-23

오른 목재 값에 주택 건축비 2만불 더 들어

 지난해 5월 최고점을 찍고 내림세를 보이던 건축용 목재 가격이 다시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다.   전국건설업협회(NAHB)는 2021년 12월 29일 기준으로 1000 보드피트(bd ft) 한장 가격이 1000달러에 달한다고 최근 밝혔다. 작년 8월 이후 목재 가격과 비교해서 167%가 오른 것이다.   이로 인해서 신축 단독주택 한 채당 1만8600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며 아파트와 같은 다가구 주택 건설비용도 7300달러가 더 든다는 게 NAHB의 설명이다. 신축 아파트 비용의 증가로 월 67달러의 렌트비 추가 인상요인이 생겼다.     NAHB는 2021년 5월에 1000 보드피트(bd ft) 한장 가격이 1500달러로 정점에 도달한 후 내림세를 보이다가 계속된 공급망 차질, 캐나다산 원목에 대한 관세, 캐나다의 산불 여파로 목재 가격이 상승세를 보인다고 분석했다.   작년 여름께 브리티시 캐나다주를 포함한 온타리오, 매니토바주 등 캐나다 전역에 걸친 산불로 목재를 운송하는 철도가 유실되고, 각 주정부가 화재 방지를 위해 벌목 및 제재소 운영 중단을 명령하면서 목재 가격이 급등했다는 것이다.     NAHB는 주택 가격 안정화를 위해서 정부에 목재와 다른 건축 자재의 공급망 교란 해소를 요청했다. 진성철 기자건축비 목재 주택 건축비 건축용 목재 신축 단독주택

2022-01-1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